졸업 후 진로
취업 및 진로전망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운영되어 중견 전기전자 IT업체에 취업율 100% 달성을 위하여 산학 맞춤형 취업협약으로 현장실습 활성화 및 취업률 향상 산업체 직무맞춤형교육을 통하여 산업체에서 원하는 산업인력 배출 전공동아리를 통하여 전공의 실기실습 능력을 향상시켜 취업률 향상 멘토링을 통한 상시 진로 및 취업지도와 인성교육 강화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 조사결과
- 현원 : 1,461,902명
- 부족인원 : 38,926명
- 부족률 : 2.6%
- 대한민국 12대 주력산업 중에서 전기전자 산업분야는 전자, 디스플레이, 반도체, 소프트웨어, IT 비즈니스 등 5개 분야를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타 주력 산업과의 융복합 분야까지 포함하면 보다 비중이 높아 질 전망이다.
- 경상북도는 관련 정부 부처와 함께 구미·포항 등지의 IT 생산기반을 바탕으로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IT 융복합 신산업벨트를 조성한다.
근거 1. 2013년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근거 2. 대구, SW융합 거점도시... 경북, IT융복합 신산업벨트 조성 - 영남일보
취업맞춤형 협약 업체
LIG넥스원
구미 에이테크솔루션
구일
알에프코어
유니맥스 정보시스템
- BAS 산업체 : LG 전자서비스, 삼성전자 서비스, 삼성전자 로지텍 등
- 방위산업체 : LIG 넥스원, 성진 C&S, 코시스텍, 우리별텔레콤, 세영정보통신
한화탈레스, ㈜구일, 유니맥스정보시스템, 알에프코어, 구미에이테크솔루션 - IT 융복합 산업체 : 소디프신소재, 에이반트, S&I, KS시스템, T&P 등
- 전기 분야 : 포스코 및 협력업체, ㈜비츠로시스(협약 준비 중)
주요 취업분야
전자·전기 부문 | 삼성전자, 삼성전기, 한화테크윈, 한화탈레스, LIG넥스원,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LG전자, LG화학, LS산전, LS전선, SK하이닉스반도체 등 |
---|---|
중공업·건설 부문 | 포스코, 현대제철,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효성중공업, 두산중공업, 삼성엔지니어링 현대엔지니어링, 삼성건설, GS건설, 현대건설 등 |
자동차 부문 |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한국GM, 삼성르노 등 |
정부 기관 |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전기공, 코레일, 대구/서울/인천/지하철공사 등 |
기술직 공무원 | 지방 및 중앙공무원(전기 및 통신, 전산직), 소방공무원 등 |
- 주요 편입분야 : 졸업생 중 약 20% 정도 국립대학 중심으로 편입
- 주요 국립대 : 서울시립대, 경북대, 충남대, 강원대, 금오공대, 한국교통대, 안동대, 창원대, 공주대, 3사관학교 등
- 주요 사립대 : 경희대, 한국외국어대, 울산대, 동국대, 계명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