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소개
사회복지학개론(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사회복지의 학문적 연구과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것으로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발달과정, 사회복지학의 연구 및 실천방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실천방법론과 사회복지 정책·제도, 사회복지 실천의 주요 분야, 사회복지의 학문으로서의 연구전망과 사회제도로서의 실천적 전망을 살펴본다.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 기획, 의사결정, 조직과 행정체계에 대한 기본이론을 공부하고 공공·민간차원의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하는 사회복지조직, 전달체계, 사회복지요원, 사회복지재정 등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도록 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r & Social Environment)
- 사회복지 실천의 기초지식이라 할 수 있는 인간의 행동과 발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형성해 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의 다양한 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지식을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주요이론, 생애주기이론에서 본 발달단계와 발달과제, 체계이론적 관점에서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조직, 문화를 통해 검토한다.
사회복지실천론(Theories of Social Work Practice)
-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과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실천 모델에 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기본 철학과 가치, 통합적 시각, 사회복지실천의 관계론, 면접론, 과정론, 사례관리 등을 검토한다.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cy)
- 사회복지정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정책과 인접 영역들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복지정책의 결과인 복지국가 대해 이해하고,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들을 알아본다.또한 사회복지정책의 출현배경에 관한 사회복지정책이론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사회복지조사론(Research Methods for Social Welfare)
- 연구방법론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 이론들을 배우는데 중점을 둔다. 서베이, 욕구조사, 실험연구, 단일사례연구설계, 프로그램 평가 등 중요한 조사방법의 설계와 자료수집 기법들을 포함한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 개인과 집단, 가족의 사회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복지사가 숙지해야 하는 다양한 실천모델과 개입기술, 기법, 지침 등에 초점을 맞춘다. 특히 사례연구와 역할연습을 통해 실천기술과 기법, 지침을 실천대상에게 적용하고 실제에 개입, 평가하는 연습을 강조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Social Work Practice)
- 실천교육으로 적합한 사회복지 실무현장에 학생들을 배치하여 1주일에 8시간 씩 4주(총40시간이상)를 사회복지기관에서 슈퍼바이저의 지도를 통해 실질적인 업무를 익히도록 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사회복지사로서 자질과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육학개론(Introduction to Child Education)
- 보육사업의 현대적 의미와 역사적 발달단계를 살펴보고, 한국 보육사업의 현주소를 분석케 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보육사업 지식을 습득한다.
보육과정(Early Child Care & Education Curriculum)
- 영 유아보육에서 중심과제가 되는 보육과정의 제반 이론을 학습하고 이들을 실제 교육사태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습득한다.
가족복지론(Social Work with Families)
- 개인의 문제를 가족이라고 하는 역동적인 집단 혹은 체계라는 차원에서 이해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가족 역동성에 대한 이해와 가족복지의 지식과 기술을 검토하고 특성에 알맞는 접근방법을 학습한다.
사회복지윤리와철학(Social Work Values and Ethics)
- 사회복지의 본질과 기능이 가진 윤리적 측면에 관한 인식 및 관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 실천 과정에서 작동하는 지식, 기술, 가치의 역할에 관한 인식을 환기시기며, 다양한 윤리 이론에 대한 학습 및 관련 철학 지식을 습득한다.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ork & Welfare)
- 사회복지사 활동의 주요 장으로서 존재하는 지역사회의 복지향상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이해 및 능력제고에 기본적인 초점을 두고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입을 의미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와 모델, 원칙과 일반적 과정 및 실천 기술 틀에 대해 학습한다.
장애인복지론(Social Welfare for the disabled)
- 장애인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장애에 대해 접근하는 다양한 시각 및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가치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새롭게 정리되고 있는 장애에 대한 정의 및 분류에 대해 학습하고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에 따른 특성, 유형에 따른 특성, 정도에 다른 특성에 대해서 학습한다.
사회복지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Social Welfare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 사회복지의 거시적 접근모델의 맥락에서 문제를 분석하고, 욕구를 파악하여 적절한 개입으로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배경과 전략을 연구하고 응용하여 실제로 적용하도록 한다.
사회복지법제와 실천(Social Welfare and Law)
- 사회복지에 대한 법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법학적 개념, 역사적 생성배경과 과정,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권리성 등을 헌법과 관련하여 총론적으로 이해하고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을 포함한 개별적인 사회복지법의 고찰함으로써 현행법의 범주와 체계를 파악한다.
노인복지론(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 노인복지 활동에 필요한 개괄적인 지식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노화에 따른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및 사회적 요인의 변화와 노인문제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노인복지 정책 프로그램과 실천기술을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정신건강론(Mental Health Problems)
-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 이론을 배우는 데 중점을 두며, 정신질환의 유형과 정신장애의 판정기준을 배우고, 정신의학의 한계점에 대해 학습한다.
영유아 발달(Child Development)
- 아동의 신체적,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관한 제반 지식을 습득한다.
놀이지도(Educational use of play)
- 유아교육 기관에서 놀이를 지도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에 대해 다루며, 놀이를 통해 유아교육 과정을 실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유아교육 현장과 연결하여 익힌다.
영유아교수방법론(Teaching Methods for early care & Education)
- 유아와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고 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영 유아보육 및 교육현장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교사의 교수방법 향상 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사례관리론(Case Management in Social Work Practice)
-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요구되는 사례관리실천에 대한 자기함양과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실천능력을 배양한다. 다양한 실천 장면에 따라 적용 가능한 사례관리실천모델을 이해하고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적합한 사례관리 모델들을 선별할 수 있는 능력을 익힌다.
보육실습(Child Education)
- 보육교사 자격 인정 관계과목에서 익힌 이론을 실제 보육시설에서 아동들을 대상으로 적용해 봄으로서 실무 및 실기를 습득한다.
아동권리와 복지(Children’s Right & Welfare)
- 아동과 아동복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이론적 배경과 실천방법을 학습하여 아동복지 분야에서 활동할 사회복지사의 능력을 배양한다. 이를 위하여 아동복지의 개념과 가치에 대한 이해 아동복지의 이해, 아동복지의 역사, 정책과 제도, 실천방법과 기술 등의 이해를 도모한다.
사회봉사(Community Service)
- 현대사회에서 자원봉사의 의미와 필요성, 자원봉사의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을 살펴보고, 실제적으로 자원봉사의 의미와 기술을 체득한다. 덧붙여 자원봉사조정에 대한 이해를 병행한다. 정보능력 각종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관련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운용 및 정보처리에 관한 실무교육을 실시한다.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Children Observation & Behavioral Studies)
- 아동관찰이해에서부터 표준보육과정에 의거한 아동문제행동의 구체적인 지도와 문제행동의 실제까지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관찰의 유형을 중심으로 배우는 교과목이다
아동수학지도(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 영유아기 수학교육의 의미와 발달단계 및 특성, 수•조작활동을 위한 지도방법 및 평가, 환경구성 등의 지식과 실제를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언어지도(Language & Literac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기초 지식의 습득과 다양한 언어지도 방법 및 아동문학 감상을 통해 보육교사로서의 능력을 갖추기 위한 교과목이다.
보육교사론(Teacher Education)
- 보육교사를 꿈꾸는 예비보육교사에게 올바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여 보육교사로서의자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되고자 바람직한 보육교사상의 이해와 역활, 자질, 권리와의무, 교직윤리, 보육교사로서 보육과정에 따른 교사의 전문지식과 자격기준및관리에 따른 내용, 보육교사의 전문성,보육교사의 인간관계 등 보육교사직의 이해와 실제에 대해 배우는 교과목이다.
가족상담 및 치료(Family Counseling & Therapy)
- 사회복지현장에서 개입하는 기본 단위인 가족에 대한 이론, 개입, 기술등의 내용을 숙지하여 가족의 문제에 대한 상담과 해결전략을 학습해보는 교과목이다.
아동안전관리(Safety Management for Children)
- 아동안전관리에 대한 기초 이론과 보육현장을 기반으로 영유아 건강 밎 안전지도에 대한 실무를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창업과 진로컨설팅
- 창업과 진로컨설팅 취업을 앞두고, 자신의 직업에 관한 탐색과 진로에 대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자신의 직업탐색, 방향설정, 계획등을 제도적인 환경과 맞추어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이다.
정보관리실무
- 각종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관련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운용 및 정보처리에 관한 실무교육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