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교과목소개

행정학개론(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의 기초적인 방법과 이론을 이해하고 사회 환경과 현대행정의 특성과 구조적 변동에 대한 대응능력을 배양하여 행정학의 전반적인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정책학개론(Introduction to Public Policy)

정책학의 기초 이론과 정책과정의 정책의제설정, 정책결정, 정책집행, 정책 평가의 순환적 과정의 이해를 통해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배양한다.

재무행정론(Financial Administration)

예산에 관한 지식, 정부예산의 편성, 심의, 집행, 결산에 대한 예산과정과 예산 개혁제도를 학습하여 예산 관련 정부활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인사행정론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현대행정에 필요한 인간자원의 동원과 관리에 대한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인사행정의 실제 및 기본적 이론의 고찰을 통하여 인사행정 및 관리에 관한 실질적인 업무수행 능력을 배양한다.

조직관리론(Theory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현대 행정의 조직과정과 구조의 일반적 이론을 습득하여 조직 관리의 이론적 또는 경험적 분석에 강의 초점을 맞춰 인간의 의사결정, 리더십 등 조직관리 능력을 배양시킨다.

지방자치론(Local Administration)

지방행정의 의의, 구조, 기능 등을 지역주민의 환경 및 의식구조와 관련시켜 고찰하고, 지역사회 발전에 있어서 지방행정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다.

조사방법론(Research Methods)

과학적 조사방법을 학습함으로써 행정현상에 숨어있는 제반 인과관계를 유추하여 행정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해 설명하고 더 나아가 예측 통제할 수 있는 지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행정법(Administrative Law)(1), (2)

행정법의 조직과 작용 및 행정구제에 관한 공법으로써 행정적용법, 행정조직법, 행정절차법, 행정구제법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행정에 있어서 필요한 관계 공법과 사법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행정특강(Special Lecture on Public Administration)(1)(2)(3)(4)

행정직 공무원 시험에 대비하기 위하여 행정직 공무원 시험과목인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 행정학 등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수요에 따라 부족한 과목을 중심으로 익히도록 한다.

한국정부론(Korean Government)

정부의 역사적 발전과정을 통해 정부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유도함으로써 한국정부와 행정학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행정기획실무(Public Planning practical)

행정기획의 개념, 유형, 과정, 한계점 등을 이해시킴으로써 합리적인 기획 방법을 설명한다.

지방의회실무(Local Council practical)

지방의회제도의 원리와 의의, 역사와 현황, 외국의 지방의회제도,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연혁, 지방의회의 조직, 지방의회의 지위, 기능 및 권한, 지방의회의 운영, 지방선거, 지방의회와 지방자치간의 관계를 다룬다.

지방재정실무(Local Finance practical)

지방재정의 의의 및 구조를 통해 지방재정을 분석하고 지방정부의 예산 과정에 대한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행정실무(Administrative Practical)

실제 행정 업무를 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문서 작성과 개념을 이해하고 직업인으로써 목적과 상황에 맞는 문서 작성법을 익힘으로써 행정의 전문성을 제고한다.

워드프로세서(Word Process)

문서관리의 기본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워드프로세서에 관한 업무를 신속·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특히 워드프로세서 자격증을 취득하도록 하여 공무원시험 가산점, 공무원임용후보자 가산점에 적용하도록 한다.

사무관리론(Office Management)

조직 내 사무처리의 과정과 문서관리 및 보관, 사무자동화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정보사회와 행정(Information Society & Public Administration)

행정정보체계의 기초와 개념, 개발과 관리, 정보자원 관리 및 지역정보화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정보화 사회 속에서의 행정의 역할과 행정정보체계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지방행정 캡스톤디자인(Local Administration capstone design)

지방행정 전반에 관한 주요이론과 새로운 이론을 소개하고 아울러 사례별로 연구·발표할 기회를 가짐으로써 행정학 이론의 이해도를 높이며 행정문제 해결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행정학연습(Seminar on Public Administration)

행정학의 주요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 실제와의 관련성을 연구, 토론하게 함으로써 행정학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발표능력을 함양시키도록 한다.

회계실무(Accounting practical)

공공부문에서의 재무회계, 관리회계, 회계감사 등에 관한 회계이론의 기초 원리를 이해하여 정부회계에 관한 이해능력을 배양시킨다.

지역개발론(Regional Development)

지역정책과 지역계획을 수립하는 데 기초가 되는 이론들을 파악하여 지역정책과 지역계획의 기본성격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원봉사론(Volunteerism)

자원봉사에 대한 기본개념과 이론을 익히고 국내외 자원봉사의 현황을 파악하고 적응능력향상을 통해 자원봉사자로서 기본적인 자원봉사자 관리능력을 배양한다.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ork & Welfare)

지역사회와 지역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개입을 의미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와 모델, 원칙과 일반적 과정 및 실천 기술 등에 대해 학습한다.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Policy)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개념과 발달과정, 복지국가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에 대한 이해와 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한다.

지역문화와 행정(Regional Culture & Administration)

문화정책과 행정의 개념, 문화에 대한 정보 역할을 학습함으로써, 지역 문화 정책을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킨다.